
'확찐자, 작아격리, 포스트 로나, 이시국 여행, 코로나 블루' 등은 코로나로 생겨난 대표적인 신조어로 매스컴을 통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현재 언컨택트 문화는 전 세계 소비 방식만 바꾼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일하는 방식, 종교와 정치, 연애, 공동체까지도 바꾸고 있다.
언컨택트(Uncontact)는 비접촉, 비대면, 즉 사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촉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사람에겐 사람과의 연결과 접촉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를 부정하는 것이 바로 언컨택트이다.
대면을 중시해 오랫동안 고수해왔던 우리나라 기업의 업무방식도 이제는 재택근무를 권고하고 국경을 잊을 만큼 잦은 해외여행은 제한되어 있으며, 24시간 환했던 대학로와 홍대, 이태원 번화가는 이보다 한산할 수 없다.
COVID-19는 '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어느새 2년이 되어간다. 창궐 이래로 1년 반 동안 우리의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창궐 초기 당시엔 의학기술이 충분히 발달되었기에 개의치 않았던 코로나는 현재 2년을 바라고 있고 이전 사회와는 크게 변화하였다.
우리나라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22시 영업 제한은 더 이상 한국이 관광지로서의 역할 비중이 줄어들었으며 경제는 어느새 빨간불에 들어섰다는 것은 뉴스를 접하지 않아도 쉽사리 파악이 가능하다.
즉, 비대면 문화가 정착이 되었고 ZOOM 화상강의, 키오스크, 자동화 시스템 등 인간의 노동가치가 줄었다고 말하고 싶다. 이는 더 이상 시대에 따라가지 못하고 새로운 문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소위 '꼰대'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을 시사한다.물론, 자신이 현재 종사하고 있는 분야가 미래가 없는 것 같아 분야를 180도 틀어버리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특히, 주변 영업사원, 어문학과 대학생 등 문과 계열들은 취업이 힘들다고 판단해 시간을 좀 더 주고 투자 가치가 있는 IT 분야로 전향하기도 한다. 우리는 살아남기 위한 생존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인생의 노하우 > 성장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계발] [전화영어] 민병철 유폰 내돈내산 후기 (0) | 2023.02.01 |
---|---|
[도서 리뷰]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베르테르 효과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