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대면 산업의 발전: 디지털 헬스]
팬데믹(Pandemic)이란 어떤 전염병이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여 인류 전반에 치명적인 위협을 야기하는 상태에 도달할 때를 의미합니다.
WHO에서 규정한 6단계 전염병 경보단계 중 가장 위험한 단계인 5~6단계에 해당하는데요.
4단계에 해당하는 에피데믹(Epidemic)은 한 국가, 혹은 하나의 대륙에서 빠르게 퍼지는 현상이라면 팬데믹은 전염병이 세계 각국을 이동하며 대유행하는 수준입니다. WHO가 가장 최근 팬데믹을 선언했던 것은 2009년 신종플루(H1N1)인데요.
반면 2003년 사스(SARS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는 팬데믹이 선언되지 않았는데, 당시 26개국에서만 발생해 비교적 신속하게 억제되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확진 시 미각과 후각이 마비되며, 폐 역할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후유증으로 남녀노소 그리고 애완동물까지도 위협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각성에 반해 2020년부터 코로나 확진자의 병실 부족, 이동 수단 제한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의료시스템이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에 집중되면서 만성 질환자 및 경증 환자 치료에 병목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더 이상 약과 병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마다의 건강관리 중요성이 대두되었는데요. 그래서 미국은 비대면 진료 및 처방을 처음으로 고안하고 도입하였습니다. 넓은 국토에 따른 의료 취약 지역(격오지, 군대, 교도소 등) 대상 및 국민 건강 목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는데요. 1만 명당 의사 수는 26.1명, 약사 수 9.2명으로 주요 선진국 대비 턱없이 부족하였고 특히, 환자가 의사 최초 대면 진료 시까지 평균 29일이 소요되었기에 비대면 진료를 과감하게 추진하였습니다.
[코로나 이후 미국의 원격의료 사용률 변화(2020년 1월~12월)]
의료산업을 시작으로 산업 전반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이슈화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인 CES에서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디지털 헬스케어와 모빌리티, 비대면 산업이 주요 이슈로 선정되어 수많은 기업이 참여하였는데요.
특히, ‘Google’, ‘Apple’ 등 다양한 테크기업들은 기존의 생태계 기반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신규 런칭하고 ‘Target’ 및 ‘Amazon’은 온·오프라인매장으로부터 소비자의 구매패턴 데이터 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임신 등 신체 변화를 예측해 관련 물품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또한 ‘Carolinas Health System’ 기업은 200만 명 신용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스트푸드, 담배, 술, 의약품 리필 여부 등을 파악해 과체중, 당뇨, 천식, 우울증 등 질병 고위험군을 분류하고 응급실 이용 가능성을 예측하는데요. 빅데이터와 클라우드를 보유한 글로벌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여러 산업이 협업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으로의 실생활과 어떻게 접목이 될지 기대가 됩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 중인 글로벌 기업]
기업 | 설명 |
l 헬스케어 관련 특허 186건 출원 l 질병 예측 AI 알고리즘 개발 l 구글 검색 및 이용자 데이터 활용 |
|
Apple | l 자사 사용자 바탕 Healthcare 생태계 조성 l Research Kit 및 Care Kit으로 건강 데이터 관리 |
Microsoft | l 건강정보 플랫폼(Healthcare Valut) 개발 |
Uber | l 환자 운송서비스 우버 헬스(Uber Health) cnftl |
Target | l 소비자의 구매패턴 데이터 변화분석을 기반으로 임신 등 신체변화를 예측해 관련 물품 추천 |
Amazon | l 기존 전자상거래 플랫폼 및 물류체인, Alexa 등의 디바이스와 더불어 신규 기기 및 서비스 런칭 *처방약 배달사업 글로벌 확장을 위해 10개 이상 국가에서 Amazon Pharmacy 상표 진출 접수 |
Carolinas health | l 200만명 신용카드 데이터 기반 패스트푸드, 담배, 술, 의약품 리필 여부 등 파악해 과체중, 당뇨, 천식, 우울증 등 질병 고위험군을 분류, 응급실 이용 가능성 예측 |
자료 출처: KOTRA
[2020년 미국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 펀딩 규모]
'해외 경제 파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경제] [현장경제분석] 미국 포스트 코로나(4) - 원격근무 혁명 (0) | 2023.01.14 |
---|---|
[미국경제] [현장경제분석] 미국 포스트 코로나(3) - 비대면 플랫폼의 부상 (0) | 2023.01.13 |
[미국경제] [현장경제분석] 미국 포스트 코로나(1) (0) | 2023.01.12 |
[미국경제] [현장경제분석]미국 노동시장의 특성과 근로환경 (6) - 미국 근무여건: 휴가 및 비자 (0) | 2023.01.12 |
[미국경제] [현장경제분석]미국 노동시장의 특성과 근로환경 (5) - 중국의 위기, 신장 위구르 (0) | 2023.01.12 |